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공핍영역 넓이
- pn접합
- 반도체연구소
- PN junction
- 홀
- PN diode
- 맛집
- 전자농도
- 취업준비
- 공핍영역
- 삼성전자DS
- SVP
- 점진적 도핑
- 삼성전자
- 물리전자개론
- Lifetime
- 합격후기
- 당일치기
- 반도체 소자
- 무한리필
- 공간 전하 영역
- 반도체소자
- EE204
- 반도체이론
- 반도체
- 삼성면접
- minority carrier
- 반도체 이론
- DEPLETION REGION
- 과잉캐리어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과잉 캐리어의 이동도 (1)
쿠크다스 멜랑쥬

6.3.4 유전체 이완시간상수(Dielectric Relaxation Time Constant) 위 그림처럼 접지되어 있는 n-type 반도체에 균일한 농도의 홀들이 한쪽에서 주입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. 이 경우에 반도체는 어떻게 전기적 중성에 도다를 것이며 도달하기까지의 속도는 어떻게 될까? 이를 위해 아래 3개의 식을 보기로 하자. 1.푸아송 방정식으로 전기장과 전하밀도에 대한 식이다 2.옴의 법칙이다. V=IR을 다른 형태로 표현한 식이다. 3.앞서 배웠던 연속방정식이다. 생성과 재결합에 대한 식은 제외하였다. 3개의 식이 J와 E를 공유하므로 다음과 같이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. $$ \bigtriangledown \cdot J=\sigma \bigtriangledown \cdot E=\frac{..
교육
2023. 4. 15. 22:11